lime.co.kr 경상북도 (慶尙北道). > lime1 | lime.co.kr report

경상북도 (慶尙北道). > lime1

본문 바로가기

lime1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경상북도 (慶尙北道).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23:05

본문




Download : 慶尙北道.hwp




6. 교통
삼한시대에는 진한의 땅이었으며, 통일신라시대에는 757년(경덕왕 16)에 나눈 9주 중에서 상주(尙州)와 양주(良州)가 경상북도에 속했다. 1895년(고종 32)에 전국을 23부로 개편할 당시 경상도에는 대구 안동 진주 동래의 4觀察(관찰) 부를 두었는데, 오늘날의 경상북도는 대구부와 안동부 이외에 동래부의 일부를 포함했고, 1896년(고종 33)에 전국을 13도로 개편함에 따라 경상북도를 떼어 대구에 觀察(관찰) 사를 두고 41개군을 관할하게 했다.
경북위인전 : 경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편, 경상북도, 1987
Ⅵ. 교육·문화·관광
경상북도 (慶尙北道).
설명




순서

3. 수산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경상북도사 전3권 : 경상북도사편찬위원회 편, 경상북도, 1983
Ⅲ. 자연環境(환경)
참고한 문헌
내고장 경상북도 - 지리편 : 경상북도 교육위원회 편 발행, 1986
경상북도 경상도 慶尙北道 慶尙道 / 경북마을지 상 : 경북향토사연구협의회 편, 경상북도, 1990 한국의 발견 - 경상북도 : 강용권 외, 뿌리깊은나무, 1989 경상북도(전통의 뿌리) : 김에드워드, HEK홍보기획공사 편, 삼형문화, 1987 경북위인전 : 경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편, 경상북도, 1987 내고장 경상북도 - 지리편 : 경상북도 교육위원회 편 발행, 1986 한국지지 지방편 Ⅲ : 건설부 국립지리원 편 발행, 1985 경상북도지명유래총람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편, 경상북도 교육위원회, 1984 경상북도사 전3권 : 경상북도사편찬위원회 편, 경상북도, 1983 한국지명총람 5 - 경북편 : 한글학회 편 발행, 1978 경북향토자료지 : 경상북도 교육위원회 편 발행, 1972 도세일람 : 경상북도 공보과 편저, 경상북도, 1959 경상북도통계연보 : 경상북도 편 발행, 연간 ()

한국지지 지방편 Ⅲ : 건설부 국립지리원 편 발행, 1985
경상북도통계연보 : 경상북도 편 발행, 연간
도세일람 : 경상북도 공보과 편저, 경상북도, 1959
2. 기후
2. 도시


()
Ⅳ. 인구·도시

1. 인구
경상북도 경상도 慶尙北道 慶尙道

2. 임업

Download : 慶尙北道.hwp( 37 )


Ⅶ. 지역개발
경북향토자료지 : 경상북도 교육위원회 편 발행, 1972
1. 농업

Ⅱ. 연혁
4. 광업

Ⅱ. 연혁

한국의 발견 - 경상북도 : 강용권 외, 뿌리깊은나무, 1989

경상북도 경상도 慶尙北道 慶尙道 / 경북마을지 상 : 경북향토사연구협의회 편, 경상북도, 1990
1. 지질·지형

5. 공업


경상북도지명기원총람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편, 경상북도 교육위원회, 1984
한국지명총람 5 - 경북편 : 한글학회 편 발행, 1978

Ⅰ. 경상북도
경상북도(전통의 뿌리) : 김에드워드, HEK홍보기획공사 편, 삼형文化, 1987

Ⅴ. 산업·교통




다. 그리고 1914년 군면 폐합시에 대구는 1부와 22군으로 개편되었고, 1931년에 읍면제가 실시됨에 따라 같은 해에 김천 포항 경주 상주 안동, 1937년에는 영천 예천 감포, 1940년에는 영주 의성, 1942년에는 구룡포가 각각 읍으로 승격되었다. 그후 고려 태조 때에 동남도(東南道)로 되었다가 995년(성종 14)에 영남도(嶺南道) 영동도(嶺東道) 산남도(山南道)로 나뉘었으며, 1106년(예종 1)에 다시 경상진주도(慶尙晉州道)로 합쳐진 후 몇 次例 개칭을 거쳐 1314년(충숙왕 1)에 경주와 상주의 지명을 합친 경상도라는 명칭이 확정되었다. 감영은 그후 달성(達城 : 대구)과 안동으로 옮겨졌다가 1601년(선조 34)에 오늘날의 대구에 자리잡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1407년(태종 7)에 군사상의 이유로 낙동강을 경계로 좌도와 우도로 나눔에 따라 좌도의 대부분과 우도의 일부를 포함하게 되었고, 1594년(선조 26)에 이를 다시 합쳐 성주 팔거현(八縣 : 칠곡)에 감영을 두었다.
Total 6,579건 1 페이지

검색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lime.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lime.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