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남북한 정보통신교류 현황과 활성화 대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2:38본문
Download : 남북한 정보통신교류 현황과 활.hwp
유승훈, 남북한 정보통신 협력의 현황 및 향후 과제課題에 관한 연구
Ⅰ. 서론
Download : 남북한 정보통신교류 현황과 활.hwp( 56 )
3. 통일이후의 책략
정보통신교류 남북한정보통신교류 북한정보통신 / 행정정보체계론, 정우열, 2004,청목출판사 인터넷과 북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2000 통일부, 2001통일백서 박재범, 남북한 정보통신교류 활성화 방안, 통신연합25권 김상택, 2002, 경제성 분석을 통한 남북통신망 고도화 및 통신서비스사업 진출방안연구 이은국, 2002, 북한 IT 산업분석 및 남북 IT 협력방안 연구 공영일, 1999, 정보통신 정책11권, 남북한 정보통신 교류협력 현황 및 과제 김상택, 공영일, 1999, 정보통신정책이슈11권, 남북한 정보통신부문의 교류협력과 통합에 관한 연구 권기헌, 1998, 유럽연구, 남북한 정보통신교류 활성화 방안 주정민, 2004, 남북한 정보통신 미디어 교류협력방안 연구 최기호, 2004, 남북한의 국어통일과 정보통신용어 이재승, 북한의 움직이는 테크노크라트, 일빛, 1998 57쪽 박찬모, 북한의 정보기술과 남북협력 <통일 시론> 1999년 봄호 124쪽 유승훈, 남북한 정보통신 협력의 현황 및 향후 과제에 관한 연구 조선중앙방송 1998년 1월 3일자 국제 전신연합, 1998, 세계전신보고서 교도통신 2001년 8월 1일자 디지털 타임즈, 2001년 8월 28일
1. 통신정책의 변화
2. 하드웨어 부문의 교류협력
2. 체신 기능과 체신부
4. 정보통신 인력
박재범, 남북한 정보통신교류 활성화 대안, 통신연합25권
교도통신 2001년 8월 1일자
5. IT 인력양성 교류협력
정보통신교류 남북한정보통신교류 북한정보통신
Ⅲ.남북한 정보통신부문의 교류협력동향
이은국, 2002, 북한 IT 산업分析 및 남북 IT 협력대안 연구
다. 이처럼 물리적인 접촉이 거의 불가능한 남북한 국민 간에 정보통신은 서로 이해하고 문화적 격차를 줄이는데 중요한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박찬모, 북한의 정보기술과 남북협력 <통일 시론> 1999년 봄호 124쪽
이재승, 북한의 움직이는 테크노크라트, 일빛, 1998 57쪽
김상택, 2002, 경제성 分析을 통한 남북통신망 고도화 및 통신서비스사업 진출대안연구
통일부, 2001통일백서
공영일, 1999, 정보통신 정책11권, 남북한 정보통신 교류협력 현황 및 과제課題
디지털 타임즈, 2001년 8월 28일
4. 인터넷(Internet) 부문의 교류협력
조선중앙방송 1998년 1월 3일자
Internet과 북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2000
Ⅳ. 남북한 교류협력 장애요소와 교류 활성화 plan
설명
최기호, 2004, 남북한의 국어통일과 정보통신용어





남북한 정보통신교류 현황과 활성화 대안
2. 통일 이전의 남북한 정보통신 교류 협력 활성화 plan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Ⅱ. 북한의 정보통신부문동향
국제 전신연합, 1998, 세계전신보고서
5. 북한 통신의 問題點
3. 정보통신 발전 동향
권기헌, 1998, 유럽연구, 남북한 정보통신교류 활성화 대안
본 보고서에서는 통일 한국을 위한 정보화 정책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F를 찍기 전 사전 준비과정에서 광고라는 개념조차 설명(說明)하고 이해시켜야 할 정도로 문화적 차이가 컸고 모델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의 습득도 여러 사람을 거쳐25일만에 알아냈다고 한다. 세부적으로는 첫째, 북한의 정보통신부문 동향과 남북한 정보통신부문의 교류협력동향을 알아보고 둘째, 통일전의 제반 問題點을 파악하여 사전에 해소하여 활성화할 수 있는 plan을 모색해보고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통일 이후 도입 가능한 plan에 대해 생각해보겠다.
2000년 10월 평양을 방문한 미국의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에게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이메일 주소를 알려달라고 언급했다고 한다. 김정일의 인터넷(Internet)활용은 개인적인 관심사이상이며 경기침체 극복의 방법으로 산업시설의 정비와 함께 IT 분야의 집중육성이 큰 틀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북한은 점진적인 中國의 모델이나 러시아의 혼란과 시행착오의 모델보다 인도와 아일랜드의 발전과정을 주목하며 자구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세계기구의 도움과 남한과의 교류를 통해 이전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정보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순서
김상택, 공영일, 1999, 정보통신정책이슈11권, 남북한 정보통신부문의 교류협력과 통합에 관한 연구
3. 소프트웨어 부문의 교류협력
김대중 정부 이후의 정보통신부분의 교류와 북한 정보통신기술의 동향의 기존연구와 reference(자료)를 바탕으로 요약하고 활성화 plan과 향후 plan은 언론과 최근연구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파악했다. 정보통신부문은 인체의 신경망에 비유할 정도로 국민경제의 근간을 이루는데 중요한 하부구조이기 때문에 정치 경제적으로 중대한 影響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민족의 동질성 회복과 통일을 앞당기는데 效果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정민, 2004, 남북한 정보통신 미디어 교류협력대안 연구
정보통신교류 남북한정보통신교류 북한정보통신 / 행정정보체계론, 정우열, 2004,청목출판사
1. 교류협력사업의 장애요소
1. 통신망 교류
Ⅴ.결론 그동안 남북한 간 정보통신분야 교류협력은 북한당국이 체제유지에 대한 위협요소로 인식하여 극히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 왔다. 북한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 접근이 쉽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방법은 기존의 연구논문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 종합하고 언론을 통한 reference(자료)수집을 병행했다.